가상 메모리
- 물리 메모리의 크기와 상관없이 프로세스에 커다란 메모리 공간을 제공
- 가상 메모리를 사용하면 운영체제가 어디에 있는지, 물리 메모리의 크기가 어느 정도인지 신경 쓰지 않고 메모리를 마음대로 활용할 수 있음
가상 메모리의 구성
- 프로세스가 바라보는 메모리 영역 & 메모리 관리자가 바라보는 메모리 영역
- 메모리 관리자는 물리 메모리의 부족한 부분을 스왑 영역으로 보충
가상 메모리의 크기
- 물리 메모리와 스왑 영역을 합친 크기
가상 메모리의 메모리 분할 방식
- 가변 분할 방식을 이용한 세그먼테이션과 고정 분할 방식을 이용한 페이징 기법
- 세그먼테이션 기법은 외부 단편화 등의 문제 발생
- 세그먼테이션-페이징 혼용 기법 사용
메모리 매핑 테이블
- 가상 메모리 시스템에서 메모리 관리자는 가상 주소와 물리 주소를 일대일 매핑 테이블로 연결
'Operating system'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페이지 테이블 매핑 방식 (0) | 2023.11.03 |
---|---|
페이징 기법 (paging) (1) | 2023.11.03 |
메모리 분할 방식 (0) | 2023.09.19 |
스왑 swap (0) | 2023.09.18 |
절대 주소와 상대 주소 (0) | 2023.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