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okie, session, http
http : Hyper Text Transfor Protocol ( 하이퍼 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
- 군사목적, 논문과 같은 글자를 전달하기 위해 만들어짐
MAC 주소 : 네트워크 세그먼트의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고유 식별자
MAC는 그루핑을 할 수 없어 효과적인 데이터 통신을 위해 ip를 만들어 사용함
PORT : 프로그램을 식별하기 위해 존재함
PORT 번호는 컴퓨터에서 실행되고 있는 서버를 구분 하기 위한 16비트의 논리적 할당으로 0~65536번이 존재함
21번(FTP), 22번(SSH), 23번(telnet), 25번(SMTP), 53번(DNS), 80번(http), 110번(POP3), 143번(IMAP), 194번(IRC), 443번(https)
OSI 7계층
1 : 물리계층 : Ethernet , RS-232C
2 : 데이터 링크 계층 : MAC, PPTP, L2F ...
3 : 네트워크 계층 : ICMP, IGMP ...
4 : 전송 계층 : TCP, UDP, SSL, SCTP
5 : 세션 계층 : TLS, SSH
6 : 표현 계층 : MPEG, JPEG, SMB ...
7 : 응용 계층 : SMTP, SNMP, DNS, Telnet, FTP, HTTP, DHCP
세션(session)이란 웹 사이트의 여러 페이지에 걸쳐 사용되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을 의미합니다.
사용자가 브라우저를 닫아 서버와의 연결을 끝내는 시점까지를 세션이라고 합니다.
1. 클라이언트가 웹 사이트에 접속해 서버에 요청
2. 서버는 접속한 클라이언트에게 세션 ID를 부여해서 응답
3. 클라이언트는 해당 세션 ID를 헤더 쿠키에 넣어 데이터를 요청
4. 서버는 세션 ID를 통해 통해 클라이언트를 구별하여 데이터를 알맞게 응답
5. 클라이언트가 접속을 종료
6. 서버는 세션 ID를 제거함
세션 : 효율적인 통신을 위해 한번 서버와 연결하고 접속을 종료시 바로 끊어버림
- 서버에 저장
- 네이버 동접자 1000000만명 가정 모든 세션을 저장하면 서버가 터질 것입니다. -
쿠키 : 쿠키는 웹사이트 접속시 접속자의 개인장치에 다운로드 되고 브라우저에 저장되는 작은 텍스트 파일
- 클라이언트에 저장
커넥션리스 :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두 시스템 간의 연결을 유지하지 않는 것을 의미
스테이트리스 : 이전 상태를 저장하지 않는 것을 의미